17일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의 리서치 전담 조직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밈코인 시장의 변천사와 향후 잠재력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하며 투기 자산으로 치부되는 밈코인의 효용성을 분석했다.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은 미국 자산운용사 반에크가 도지코인(DOGE), 페페(PEPE), 도그위프햇(WIF)을 포함한 유명 밈코인 6종 가격을 추종하는 밈코인 지수 펀드를 출시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반에크 밈코인 지수펀드가 출시됐다고 해서 기관들이 즉각 (밈코인에) 유입되지는 않겠지만, 아무 효용성 없이 커뮤니티 기반으로 성장한 밈코인이 기관 관심을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반에크 밈코인 지수펀드가 앞으로 더 많은 기관과 일반 투자자가 밈코인에 관심을 갖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상자산 기반 펀드 회사에서 밈코인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는데, 실제로 캘리포니아 기반 가상자산 펀드 회사 스트라토스는 지난해 12월 위프(WIF) 유동 펀드를 출시했다”라며 “이 회사는 해당 펀드를 통해 2024년 1분기 기준 137%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디스프레드 리서치에 따르면 밈코인은 사회적 이념의 수단으로도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유명 래퍼이자 모델인 이기 아잘레아가 만든 밈코인 마더(MOTHER)의 인기가 확산되면서 밈코인을 활용하면 플랫폼에 제약받지 않고도 자유롭게 팬 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은 “이기 아잘레아는 X(구 트위터)를 통해 밈을 적절히 활용하며 자신이 만든 토큰인 마더를 활용해 티셔츠를 살 수 있는 홈페이지까지 제작하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적극 나섰다”며“이번 사례는 유명인들이 자신들의 브랜드와 사회적 관심을 수익화하기 위해 특정 플랫폼에 의존할 필요 없는 ‘개인의 플랫폼화’를 가속화시켰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디스프레드의 김동혁 리서처는 “밈코인은 시장 참여자의 여론, 내러티브 등 그동안 정량화하기 어려웠던 요소에 가치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며 “밈코인이 대변하는 주제는 얼마나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지와 이 무형자산이 실시간으로 해당 토큰의 가치에 투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가상자산 시장만이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가치 발현 프로세스로 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