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이 확정된 지난달 7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약 40일간 북미 주식형 펀드로 1조 8308억 원의 투자 자금이 유입됐다. 같은 기간 중국과 인도 등 나머지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 총 4391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간 것과는 대조적이다.
수익률 차이가 곧 자금 유출입으로 연결됐다는 분석이다. 미국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지수는 미국 대선 이후 이달 13일까지 각각 2%와 5%씩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연일 갈아치우고 있다. 그 결과 미 대선 이후 북미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6.05%로 나머지 국가 펀드의 평균 수익률(-3.71%)을 압도하고 있다. 자금 쏠림은 트럼프 당선인의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따른 감세와 관세 부과 정책 등으로 주변 국가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과거와 달리 이번 대선에서는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모두 차지하는 ‘레드 스위프(red sweep)’까지 일어나 트럼프 정부의 공약 추진 이행력이 한층 강화된 상황이다.
특히 중국 펀드의 자금 유출이 가장 컸다. 한 달여간 중국 펀드에서는 전체 감소액의 약 70%에 해당하는 3124억 원이 빠져나갔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대선 당시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 최대 6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올해 대미 무역흑자 규모가 전 세계 4위에 해당하는 베트남 펀드도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 우려가 커지며 투자 자금이 250억 원 넘게 순유출됐다.
인도 역시 마찬가지다. 트럼프 당선 이후 중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837억 원의 자금 순유출을 기록했다. 제조업과 소비 둔화가 발목을 잡았다. 김근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4% 늘어났다”며 “이는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을 뿐 아니라 2년 내 최저치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일본과 유럽 주식을 담고 있는 펀드에서 발을 빼는 투자자들도 늘고 있다. 미국 대선 이후 일본과 유럽 주식형 펀드에서는 각각 78억 원과 88억 원이 순유출됐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