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가상자산 기업 600곳 몰려 시너지…홍콩·日도 민관 뭉쳐 웹3 육성

[블록체인, 보이지 않는 고릴라를 찾아라]
■글로벌 가상자산 허브 경쟁 치열
지리·언어적 강점 갖춘 두바이
왕족이 앞장서 산업 부흥 주도
홍콩, 정부가 웹3 원스톱 지원
사이버포트서 인재 양성 활발
日도 거래소협회서 자율 규제
도코모 5조 등 대기업 적극 투자

  • 두바이=도예리·도쿄·홍콩=최재헌 기자
  • 2023-10-12 17:55:00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가상자산정책, 정부규제, 두바이, 홍콩, 일본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에는 크립토센터가 구축돼 있다. 사진 제공=DMCC


※ ‘보이지 않는 고릴라’는 한 가지에 집중하느라 다른 것을 보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가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시각도 비슷합니다. 금융 선진국들이 블록체인 산업을 적극 육성하지만 국내에서는 투기 자산 또는 규제 대상으로만 여기는 경향이 강합니다. 서울경제신문 디센터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패권을 쥐려는 각국의 움직임을 이번 기획에 담았습니다.

미래 먹거리인 블록체인 산업을 두고 전 세계 국가의 패권 전쟁이 치열하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하던 미국이 당국의 엇박자 규제로 주춤하는 동안 유럽연합(EU)은 올해 5월 전 세계 최초로 가상자산 관련 단독 법안을 통과시키며 경쟁에 불을 댕겼다. 그러나 서구 선진국들을 제치고 가상자산 허브를 노리는 다크호스들의 기세도 만만찮다. 지리적 이점과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업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나, 한국과 달리 당국이 나서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 중인 홍콩과 일본의 행보에도 이목이 쏠린다.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에 조성된 크립토센터에서 가상자산 기업 관계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제공=DMCC


최근 서울경제신문 디센터가 찾은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는 글로벌 가상자산 허브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DMCC는 UAE 최대 자유무역지대인 두바이의 신도시 주메이라레이크타워지구에 위치한 글로벌 원자재 거래의 중심지다. 이곳에 UAE 정부는 가상자산 기업을 위한 전용 공간인 크립토센터를 조성했다. 웹3 분야의 기업들이 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한 것이다. 현재 DMCC에는 탈중앙화 금융, 레이어2, 장외거래, 메타버스 등과 관련된 기업 약 600개가 모여 있다. 벨랄 자소마 DMCC 사업개발부서장은 기자와 만나 “아직 사업을 구상하는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도 DMCC 생태계 네트워크를 통해 지원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DMCC가 확보하고 있는 파트너십으로 기술 개발, 상장 지원, 인재 채용, 투자 유치 등 종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DMCC는 미국과 유럽·아시아 등 세계 어느 지역과도 소통이 편리하다는 지리적 장점 또한 갖추고 있다. 국경 없는 블록체인 산업의 특성과 맞아떨어지는 지점이다. 두바이 사무실에서 만난 폴리곤의 공동 창업자 산디프 나일왈은 “전 세계 각지와 비교해도 두바이는 사업을 하기 수월하다”고 전했다. 폴리곤은 전 세계 가상자산 시가총액 14위를 기록하고 있는 거래소로 두바이에 본진을 두고 있다. 나일왈 창업자는 두바이가 외국인에게 개방적인 데다 어디서든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도 덧붙였다. 바이낸스 두바이 지사 관계자 역시 “두바이는 중동 지역에 위치해 있어 다양한 지역에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영어가 공용어라 외국 기업이어도 표준화된 방식에 따라 쉽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MCC) 크립토센터의 입주 기업 관계자들. 사진 제공=DMCC


이러한 환경을 뒷받침해준 것은 가상자산 시장에 관심이 높은 두바이 정부다. 나일왈 창업자는 “두바이 왕족과 정부 모두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이해가 깊다”면서 “특히 두바이 왕족의 젊은 세대가 적극적으로 산업 부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두바이 정부가 가상자산감독청(VARA)을 통해 준비 중인 규제 역시 가상자산 산업의 긍정적 미래를 염두에 두고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동에서 두바이가 선두에 서 있다면 아시아에서는 홍콩과 일본의 기싸움이 치열하다. 홍콩 정부가 조성한 정보기술(IT)산업단지, 사이버포트의 기업 육성 프로그램(CIP)은 매년 400개 이상의 기업들이 130개의 자리를 두고 경쟁한다. 정부의 지원 아래 대학 수준의 인재 양성부터 투자자 매칭까지 웹3 창업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웹3은 이용자들이 권한을 나눠 갖고 웹을 이용(탈중앙화)하는 모델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시장의 토대가 된다.

사이버포트에서는 민간·공공투자자가 힘을 합쳐 약 680억 원 규모의 ‘사이버포트매크로펀드(CMF)’를 조직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을 견인하기 위해 ‘웹3 허브’ 부서도 신설했다. 홍콩 정부는 올해 초 사이버포트에 약 85억 원의 예산을 배정하고 ‘웹3 아카데미’를 신설해 일반 대중의 웹3에 대한 인식 제고에도 나섰다. 사이버포트 관계자는 디센터와 만나 “지속 가능한 웹3 생태계를 위해 기업이 번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인재 양성, 산업 육성, 대중 인식 제고 세 가지 분야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민관이 하나로 뭉쳐 웹3 육성에 나섰다. 일본 의회, 정부의 웹3프로젝트팀과 웹3정책추진실은 업계와 주기적으로 소통해 세제 문제 등 애로 사항을 정책에 반영한다. 일본 금융 당국은 자율 규제 기구 일본암호자산거래소협회(JVCEA)를 공식적으로 인가해 당국에 준하는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 규제의 기반을 확보했다. 웹3을 하나의 산업 기반으로 만들겠다는 일본 정부의 확신은 대기업의 참여도 이끌었다.

일례로 일본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 NTT도코모는 지난해 웹3 기술에 약 5조 66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기업 소니도 일본 현지 블록체인 기업인 아스타네트워크의 계열사 스타테일랩스에 약 46억 원을 투자하고 이달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아베 요시 하이퍼리즘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소니나 도요타 등 대기업에서도 투자를 늘리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케이 오다 퀀트스탬프 일본 담당자는 “대기업의 진출은 웹3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라고 평가했다.

결국 정부의 명확한 규제가 가상자산 산업을 일으킬 핵심이라는 지적이다. 베르트랑 페레즈 웹3재단 최고경영자(CEO)는 “대기업이 두려움 없이 웹3에 투자하도록 한 명확한 정책이 일본의 웹3 발전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