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안팎에서 전략적 환 헤지에 대한 신중론이 불거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 안정을 위한 국민연금 역할론의 일환으로써 전략적 환 헤지가 추진되고 있는데, 수익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국민연금이 내놓을 달러 물량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9일 투자은행(IB) 업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투자정책전문위원회는 최근 ‘환 헤지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관련 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환 헤지 가동 시점과 전략·물량 등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략적 환 헤지란 국민연금의 모든 해외 자산에 대한 환 헤지 비율을 최대 10%까지 높이는 방안이다. 국민연금의 해외 자산은 지난해 10월 기준 4800억 달러로, 전략적 환 헤지가 최대로 이뤄지면 시장에 약 480억 달러가 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달러 환율 급등기에는 환 헤지보다 환에 노출되는 게 수익률에 유리하다. 하지만 정부는 환율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액을 축내지 않고 달러 공급을 늘리기 위해 국민연금을 동원하는 상황이다. 국민연금으로서는 환 헤지로 자칫 수익률도 빠지고 수수료까지 물어야 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익성을 고려하면 국민연금이 환 헤지를 아예 하지 않아야 한다”며 “수익률을 낮추면서까지 국민연금에 환 헤지 역할을 강요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민연금연구원은 2030년까지 환 헤지 0%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국민연금은 우선 한국은행과 맺은 외환스와프 물량을 집행한 뒤 추후 선물환 매도 여부를 고려할 것으로 알려졌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