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코인(WLD) 출시를 둘러싼 관심에도 불구하고 AI 토큰 거래량이 정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는 가상자산 데이터 서비스 케이코의 자료를 인용, AI 토큰 거래량이 지난달 대비 늘었지만 70억 달러를 돌파한 올 초와 비교할 때 크게 감소한 뒤 정체 중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데이터에 따르면 8월 AI 토큰 거래량은 7월 말 5억 7000만 달러에서 8억 7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데시슬라바 이아네바 케이코 애널리스트는 “전세계적으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약해지면서 AI 토큰에 대한 관심이 7월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WLD를 제외한 최대 AI 토큰 5개의 미수금은 2월 1억 7000만 달러에서 8월 6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WLD는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알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7월 선보여 이목을 끌었다. WLD는 개인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며 생체인증을 통해 웹사이트와 상호 작용 가능한 ID를 발급할 계획이다.
반면 각국 규제 당국과 일부 전문가들은 데이터 수집 절차에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근거로 꾸준히 우려를 제시하고 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