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월드코인이 홍채 등 생체 인증 정보를 수집해 미흡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돼 조사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달 29일부터 월드코인 관련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에 대한 민원 신고에 따라 조사에 착수한 상태”라고 말했다.
월드코인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만든 샘 올트먼 오픈 AI 최고경영자(CEO)가 개발해 지난해 7월 출시한 홍채 인식 기반 암호화폐다. 홍채 인식 기기 ‘오브(Orb)’에 자신의 홍채 정보를 등록하면 가상자산 지갑(월드앱)에 10코인(WLD)이 지급된다. 이후 2주마다 3WLD씩 1년간 총 76WLD를 무상 제공한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월드코인 관계사는 현재 국내 10여 곳에서 얼굴과 홍채인식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이를 비롯해 월드코인은 최근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380만 명의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월드코인의 민감 정보 수집‧처리 과정과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위반사항이 확인되면 관련 법규에 따라 조치할 방침이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