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금융(DeFi)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DeFi 개발자들의 고충이 늘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6일(현지시간) 솔라나 재단은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서 “DeFi 프로토콜 개발자들이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언급했다. 그 이유로 불안정한 수요, 지속 불가능한 인센티브 구조, 비효율적인 거버넌스, 보안 위험, 일관성 없는 규제 등을 지목했다.
보고서는 이용자들이 느끼는 잠재적 어려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일례로 블록체인 간의 기술적 차이에 힘입어 이용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이용 사례가 증가했지만, 선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의 수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이용자가 온체인 앱 전반을 불신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현재 이용자들은 DeFi 앱에서 유의미하고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찾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의 종류가 다양해질수록 개발자들에게 블록체인 선택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에 보고서는 “대규모 이용자 기반을 갖추고 있는 블록체인과 수수료가 낮은 블록체인은 각기 다른 개발자를 끌어들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