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머는 투자 회사가 아니라 교육 회사입니다.”
권도균 프라이머 대표는 1997년 10년 가까이 일하던 데이콤(LG유플러스 전신)에서 나와 보안 회사인 이니텍을 창업했다. 마음먹은 원칙은 세 가지였다. 첫째는 5년 내에 제품과 서비스 매출이 기업 용역 매출을 넘어서지 못하면 흑자가 나더라도 그만두겠다는 것. 둘째는 빚을 지지 않는 것. 셋째는 망해서 재취업을 한다면 신입사원 연봉으로 다시 시작한다고 해도 받아들일 것. 사업은 이러한 비장한 각오가 무색할 정도로 승승장구했다. 이후 이니텍(2001년)과 이니시스(2002년)를 한 해 차이로 각각 코스닥에 상장시킨 뒤 세 번째 회사인 KPMS까지 미국 퍼스트데이터에 매각하면서 전무후무한 연쇄 창업자의 성공 사례가 됐다. 누군가는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고 했지만 그의 생각은 달랐다. 권 대표는 “보통의 사람을 데리고 탁월한 결과를 만드는 게 경영”이라며 “평범한 사람도 훈련을 통해 상장사가 될 정도의 회사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생생한 증거가 권 대표 자신이었다. 그는 “공대 출신의 엔지니어였고 사업은 몰랐다”면서도 “보통 사람들도 좋은 경영을 배우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걸 알게 돼 창업자 교육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맛있는 재료로 맛있게 만드는 게 아니라 보통 재료로도 훌륭한 요리를 만들 수 있는 게 요리사”라고 덧붙였다.
돈을 벌 필요도 없는 자유를 얻게 됐을 때 찾은 의미
마흔 줄의 나이에 연달아 엑시트(투자 회수)에 성공하면서 많은 이들이 선망하는 ‘이른 은퇴’를 하게 됐지만 엑시트 이후 진짜 삶이 펼쳐졌다. 누군가의 눈치도, 심지어 돈을 벌 필요도 없는 자유의 상태에 이르자 스스로 느끼기에 가치 있는 일을 찾아내기로 한 것이다. 고민 끝에 그가 찾아낸 가치 있는 일은 창업가를 키우는 일이었다. 그는 후배 창업가를 키우기로 마음먹고 2010년 액셀러레이터인 프라이머를 차렸다. 프라이머는 국내 1세대 액셀러레이터로 꼽힌다. 그는 “미국 스탠퍼드대가 위치한 실리콘밸리 팰로앨토 유니버시티 애비뉴에 있는 카페들을 가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피칭(사업 발표)이 진행되고 있는 풍경들이 눈에 들어온다”며 “나이 지긋한 분들이 이걸 듣고 투자하고 20~30대 청년들이 피칭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반대인 경우가 많다. 서울에서도 요새는 종종 비슷한 경우를 본다”고 말했다. 창업에 성공한 경험과 자본력을 가진 젊은 창업가들이 다시 새로운 창업가를 발굴하고 투자하면서 나이 든 이들도 창업에 뛰어들고 창업 생태계의 순환이 만들어지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라는 것이 권 대표의 믿음이다.
창업 초창기에 생긴 문제 평생 발목 잡아
창업 보육에 대한 액셀러레이팅 시스템이 약한 우리나라에서 그의 존재는 독보적이다. 아이템만 있고 팀도 갖춰지지 않은 시기의 창업자들을 멘토링하는데 그는 창업 초기 단계를 ‘이제 막 모체에 자리를 잡기 시작한 배아가 태아가 되는 과정’으로 본다. 그는 “장기가 형성되는 시기에 태아에게 생긴 문제가 평생 가듯이 기업도 똑같다”며 “공동 창업자를 구하거나 주주를 구성하고 회사의 구조를 만드는 등 여러 의사 결정을 하는데 나중에 회사가 크고 나서는 수정하기 어려운 결정들은 이때 다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특히 회사가 오래갈 수 있는 ‘건강함’을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와 기업가의 윤리를 중요하게 본다. 2015년 출간 후 19쇄를 찍을 정도로 창업가들의 바이블이 된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을 올해 중 재출간하면서도 이 부분을 대폭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그는 “종종 대기업 경영자들을 자주 지적하는데 사실 아주 젊은 창업자들이 경영하는 작은 스타트업에도 똑같은 윤리적인 문제와 지배구조의 문제가 존재한다”며 “스타트업이 시작할 때부터 건강함을 유지하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겉보기에 좋은 투자로 얻게 된 교훈
처음 액셀러레이터 사업에 뛰어들고 나서 1호 투자가 중고거래 플랫폼 번개장터였다. 번개장터는 2019년 사모투자펀드 운용사 프랙시스캐피탈에 인수됐다. 이후 스타일쉐어·마이리얼트립 등에 연달아 투자해 좋은 성과를 거뒀다. 특히 마이리얼트립 같은 경우는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조언해주기도 했다. 2018년 프롭테크 기업 직방에 인수된 호갱노노의 경우 당시 직장인이던 심상민 창업자가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한 이케아 전 세계 제품 가격 비교 사이트를 보고 직접 창업을 제안한 사례다.
소문이 나니 여러 스타트업들에서 투자를 받고 싶다는 러브콜이 들어왔다. 창업자가 똑똑하거나 좋은 학교, 좋은 회사 출신이어서 투자를 하게 된 경우가 생겨났다. 하지만 진용을 갖춘 팀에 과감히 높은 가치에 투자를 했음에도 성과는 처음부터 액셀러레이팅을 했던 기업들에 미치지 못했다. 이들은 이내 시장에서 잊혀졌다. 수업료를 내고 배운 큰 교훈이었다. 이때 이후로 모든 스타트업에 대해 1억 원에 지분 10%라는 동일한 조건으로 투자하는 표준계약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일 년에 두 차례씩 배치를 진행해 함께할 스타트업을 10~15곳 정도 발굴한다. 일 년이면 최대 30곳이 권 대표의 밀착 멘토링을 받게 됐고 지금까지 302곳이 투자를 받았다. 많은 액셀러레이터들이 배치 방식을 내려놓은 가운데도 꾸준히 이를 이어가고 있다. 배치 팀들 사이에서는 종종 이런 불만도 나온다. “상대 팀은 제품도 없고 아직 학생으로 구성됐는데 좋은 대학 출신이고 대기업에서 일하다가 나온 우리 팀이 같은 투자 조건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냐”는 불만들이다. 하지만 권 대표는 때로는 성공할 것 같은 기업이 보이면 어떻게든 타협해서 밸류를 높여 투자를 하고 싶을 때도 있지만 원칙을 접지는 않았다. 그는 “기업가치가 협상이 안 돼 좋은 회사를 떠나보내야 하는 게 고통스럽다”면서도 “그때마다 우리는 돈으로 돕는 회사가 아니고 경영을 돕는 회사라고 다시 한번 마음속에 새겨둔다”고 말했다.
사실 그에게 돈보다 귀한 건 시간이다. 스스로도 ‘소셜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외부 모임에는 거리를 둔다. 하지만 기꺼이 개인 시간의 70~80%를 후배 창업자에게 쓴다. 그는 “시간이 나의 생명이라고 믿고 있고 정말로 생명을 뜯어 먹인다는 생각으로 시간을 쓴다”며 “경영 멘토링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에게 투자해야 스스로의 귀중한 시간을 투자할 때 더욱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이 창업하기 좋은 때…글로벌은 뿌리부터 시작해야
팬데믹 이후 계속된 스타트업 침체기를 두고는 지금이 오히려 거품이 빠지는 때로 창업하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설명한다. 그는 “좋았던 지난 10년이 너무 과열됐던 것이지, 지금이 침체는 아니다”라고 단언한다. 자금이 몰리다 보니 부화뇌동하는 창업자들도 많았지만 이제는 스타트업 놀이가 아니라 사업에 집중하는 이들만 남았다. 원터치 진공 밀폐 기술로 밀폐용기의 에르메스로 꼽히는 바퀜의 경우 지난해에만 26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87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는데 매출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 모두들 이야기하는 글로벌 진출 관련해서는 처음부터 창업자가 나서서 현지에서 부딪힐 것을 강조한다. 그는 “스타트업들이 정부 지원 프로그램으로 일주일 정도 미국에 다녀와 실리콘밸리를 다 아는 듯 행동한다”며 “현지인을 뽑아서 영업하겠다는 마인드로는 애초에 백전백패”라고 강조했다.
권 대표는 글로벌 진출에 대한 상상력을 넓힐 것을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1등은 안 된다는 생각의 감옥에 갇히는 경향이 있다”며 “박세리 선수 이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를 한국 여성 골퍼들이 장악한 것처럼 작은 영역이라도 누군가 글로벌에서 1등을 하는 것을 보여주면 한국 스타트업들도 활짝 뛰어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오늘도 후배 창업자들과 ‘경영이라는 과학’을 실천하고 있다. 그는 거듭 말한다. “좋은 경영자가 되기 위한 조건은 단순하다. 약간의 지능 그리고 상당한 훈련(practice)”이라고.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