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분야에서 중국기업들의 대규모 기술수출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AI신약개발에서도 큰 성과가 나오고 있음.
- China Post Securities의 7월 14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에만 제약분야에서 중국기업들의 기술수출 규모가 660억 달러로 치솟았으며, 이는 이미 작년 한해 수치를 초과한 규모임.
- 올해 7월 영국의 GSK는 중국 장쑤 헝루이 제약과 중국 사상 최대 규모인 125억 달러 규모의 12개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개발 및 판매 독점 계약을 발표했음.
- 중국 현지 기업들은 국가 지원, 저렴한 인재, 점점 더 간소화되는 규제의 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최근 AI 신약 개발은 중국 정부의 2025년 5개년 계획에서 공식적인 우선순위로 지정되었음.
- 이러한 분위기에서 중국 AI 기반 신약개발기업들이 해외 제약사와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한층 더 주목을 받고 있음.
□ 중국의 AI 기반 제약 회사인 XTalPi, 하버드대 기업가와 60억 달러 규모 라이선스 계약 체결
- 8월 6일, 선전에 본사를 둔 AI 기반 약물 연구원 XTalPi의 주가는 하버드대 저명한 학자이자 사업가인 Gregory Verdine 교수가 설립한 회사와 6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음.
□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화이자(Pfizer), 사노피(Sanofi) 등도 중국 AI 신약개발회사와의 대규모 AI 신약개발 거래를 진행하고 있음.
□ 글로벌 경영컨설팅기업 McKinsey & Company의 상하이 파트너인 Fangning Zhang은 “글로벌 제약사에게 있어 가장 큰 매력은 중국 기업의 약물 라이선스 및 고급 AI 플랫폼 액세스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이라고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