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에는 화석연료가 국가 경제와 안보의 근간을 이루었지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이 화두가 되면서 세계는 ‘태양의 시대’로 진입
- 태양에너지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빛과 열 형태의 에너지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음
- 태양광에너지와 태양열에너지로 활용되며,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어 친환경 에너지로 꼽힘
? 태양광 발전은 패널 효율 개선, 대량 생산, 글로벌 공급망 확대 등으로 발전 비용이 지속적 하락
- 햇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료비가 들지 않으며, 태양광 누적 설치 용량이 2배 늘어날 때마다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패널 가격이 20% 하락
- 화석연료가 직면한 자원 고갈 없이 지속적으로 확대 가능하며, 규모의 경제에 따라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가격이 내려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됨
? 태양에너지는 일상생활 전반에 활용되고 있으며, 산업 분야 전반에서도 주요 에너지 자원으로 자리매김
- 태양광 발전은 주택 지붕에 설비를 설치하는 소규모 방식부터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며, 태양열에너지는 건물 냉난방이나 온수 공급에 주로 사용됨
- 농업 분야에서는 냉난방 비용 절감에 기여할 뿐 아니라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부상
- 조명 및 건축 분야에서도 태양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패시브 기술의 중요도가 증가
? 전 세계 태양에너지 보급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재생에너지 확산을 주도
- 중국은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증가분의 과반을 차지하며 태양에너지 시장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임
- 독일, 미국, 인도 등 태양광 발전 보급률 상위권 국가와 신흥국도 꾸준히 설비 용량을 증대
? 한국도 태양광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태양광 비중은 글로벌 평균(12%)의 절반 수준에 그침
- 낮은 일사량, 높은 제조원가 등 불리한 사업 여건 속에서 고효율·차세대 기술로 돌파구를 모색
- 제조원가 경쟁력 면에서 중국에 뒤처져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대책 마련 및 지원 노력이 필요
? ‘태양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한국도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비할 필요
- 태양광 발전으로의 전환은 산업계에 새로운 먹거리와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
- 태양에너지의 충분하고 지속적인 확보와 사후 처리를 위한 방법도 모색할 필요
? 기후변화 리스크의 자산 포트폴리오 반영과 선제적인 규제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는 필수적이며, 에너지 시장 주도 분야에 대한 선점 투자로 수익 창출 기회도 확보 가능
- ESG 투자와 녹색금융의 성장으로 태양에너지 및 재생에너지가 지속가능한 투자처로서 각광을 받음
- RE100에 따라 대기업들이 재생에너지 사용을 적극 추진하면서 기업장기전력판매계약(PPA), 녹색채권 발행 등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한 새로운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출시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