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공동 목표로 설정한 가운데, 제조업 강국인 한국과 중국은 산업 전환과 공급망 재편이라는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한국은 GDP의 약 26.5%를 차지하는 첨단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차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기반으로 AI 에너지관리,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 기술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 구조적 차이는 정책 접근 방식으로도 이어진다. 한국은 '탄소중립기본법' 제정과 K-ETS, 세액공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컨설팅 등을 통해 민간의 자율적 이행을 유도하며, 기술개발-표준화-상용화를 연계하는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기업 차원의 인식과 대응력 격차다. 한국은 수출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후위기 인식이 높으나, 중소기업의 대응 계획 수립률은 16.2%에 그친다. 자금·정보 부족, 전문인력 부족이 주요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