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잇따라 한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거래소 FTX가 국내 빗썸과 협의 중인 가운데 바이낸스와 크립토닷컴 등도 국내 다수 거래소와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폭발적인 거래량에 라이선스 제도 같은 규제 환경이 한국 시장의 매력을 높인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27일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FTX와 바이낸스, 크립토 닷컴 등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는 국내에 담당자를 배치하고, 다양한 거래소와 접촉했다. 한 중소 거래소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글로벌 거래소들이) 계속 왔다”면서 “(그들이) 웬만한 거래소는 다 만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바이낸스와 크립토닷컴은 각기 다른 중소 거래소와 인수 직전 단계까지 갔지만 협상이 결렬됐다. 서로 제시한 가격 차가 컸다는 후문이다.
굵직한 해외 거래소들이 한국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국내 암호화폐 시장 저변이 탄탄하기 때문이다. 최근 시장 침체로 거래량이 줄었지만 지난해 4월 투자 수요가 급등했을 때는 도지코인(DOGE) 하루 거래대금이 17조 원을 돌파해 당시 코스피 일일 거래대금(15조 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업계 전문가는 “리스크를 기꺼이 감수하고 투자에 뛰어드는 사람이 많다는 게 한국 시장의 제일 큰 특징”이라며 “선진 시장에서는 (한국이) 드문 사례”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시행된 특정금융거래정보법(이하 특금법)으로 규제 환경이 정비됐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한국의 규제가 까다롭긴 하지만 규제는 사업 리스크를 줄이는 수단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적어도 거래소에 한해선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돼 사업하기 수월해졌다는 것이다.
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는 일정 요건을 갖추고 금융 당국에 신고를 마쳐야 국내에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지난 25일 기준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는 총 35개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거래소는 26개다. 이중 5개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가 원화 거래를 지원하고, 나머지는 코인마켓만 운영하고 있다. 국내 진출을 염두에 둔 해외 거래소 입장에선 까다로운 신고 요건을 갖추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것보다 신고가 완료된 거래소를 인수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글로벌 거래소의 러브콜에도 중소 거래소는 신중한 입장이다. 중소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최근 테라, 루나 사태로 검찰조사가 진행되는 등 업계가 위축된 상황이라 행여나 불똥이 튈까 조심하고 있다”며 “사건이 마무리되면 시장이 폭발적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