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도예리의 NFT 레이더] 오픈씨 프로의 화려한 데뷔…일 거래량 68억 원 돌파

  • 도예리 기자 yeri.do@
  • 2023-04-20 14:15:21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NFT, 대체불가토큰, nft, 오픈씨, 오픈씨 프로, 블러, NFT 마켓플레이스, NFT 애그리게이터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한 세상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NFT 하나가 수십 억 원에 거래되는 세상입니다. 열기가 이어질지 이대로 식을지는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하기엔 NFT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NFT를 발행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 NFT를 사고 싶어하는 건 아닙니다. 사람들의 소유욕을 자극하는 NFT는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대체 왜 인기가 많은 건지 [도예리의 NFT 레이더]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공부하면서 유망한 NFT 프로젝트를 가려내는 식견이 생기길 기대합니다.




침체됐던 NFT 시장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지난 4일(현지시간) 출시된 오픈씨 프로의 거래량이 급등하는 추세다. 오픈씨 프로가 블러의 거래량을 추월했다는 데이터도 나왔다.

오픈씨 프로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하루에만 거래량이 520만 달러(약 68억 원)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출시된 지 약 열흘 만에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한 셈이다. 오픈씨 프로는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출처=오픈시 프로 공식 트위터.


오픈씨 프로는 NFT 마켓플레이스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서비스다. 오픈씨는 지난해 4월 NFT 애그리게이터 젬(Gem)을 인수했다. 데빈 핀저(Devin Finzer) 오픈씨 설립자는 “지난 2022년 초 NFT 생태계가 진화하는 모습이 인상깊었고, 성장하는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해 젬을 인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오픈씨 프로는 이 젬의 새로운 버전으로, 이름을 젬에서 오픈씨 프로로 바꾸고 업그레이드를 한 것이다.

오픈씨 프로는 170개 NFT 마켓의 정보를 한 데 모아 콜렉터가 적정한 가격에 NFT를 거래할 수 있도록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주목할 부분은 NFT 거래가 곧바로 성사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NFT는 매수자와 매도자 간 양측의 수요가 동시에 부합해야 거래가 이뤄진다. 이에 유동화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오픈씨 프로를 이용하면 170개 NFT 마켓의 데이터를 동시다발적으로 활용해 즉시 NFT 거래가 이뤄질 수 있다. NFT를 사고 팔며 시세차익을 챙기는 트레이더에겐 이 같은 기능이 상당히 매력적일 수 있다. 당분간 오픈씨 프로는 수수료 0% 마케팅을 진행한다. 블러의 등장으로 수수료 0% 정책을 펼쳤던 오픈씨는 기존과 동일한 수수료 2.5%로 돌아간다.

시장 반응은 뜨겁다. 시장 분석 기관 델파이 디지털(Delphi Digital)에 따르면 젬이 오픈씨 프로로 리브랜딩한 뒤 블러의 거래 건수를 앞질렀다. 블러는 앞서 NFT 레이더에서도 다룬 바가 있다. (★디센터 기사 참조: [도예리의 NFT 레이더] 오픈씨 위협하는 ‘블러’) 블러 역시 NFT 애그리게이터 플랫폼으로, 후발주자이지만 오픈씨를 위협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오픈씨도 한시적으로 수수료 0% 정책을 내놓으며 블러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출처=델파이 디지털.


델파이 디지털은 “오픈씨 프로와 블러는 수수료가 0%이고,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도 블러보다 오픈씨 프로에서 더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프로 트레이더들이 오픈씨 프로의 새로운 NFT 보상 등 에어드랍 등을 기대하면서 이러한 추세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블러의 인센티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되면, 오픈씨 프로의 거래량은 계속 증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FT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성공한 오픈씨 프로가 앞으로 흥행을 이어갈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