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의 발행사 테더(Tether)가 카바(Kava) 블록체인에서 USDT를 발행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의 달러·유로화 등 법정화폐와 가치를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가상자산이다.
테더는 27일 카바 블록체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음 달 카바 USD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카바는 코스모스(Cosmos)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DeFi·디파이) 플랫폼으로 이더리움가상머신(EVM)과 호환되는 레이어1 블록체인이다. 레이어1 블록체인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과 같이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갖췄다.
테더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이용자가 이더리움과 코스모스 네트워크 사이에서 자산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했다. 또 코스모스 이용자는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스콧 스튜어트(Scott Stuart) 카바 공동창립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코스모스 생태계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