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가 블록체인 생태계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그 중심지로 한국이 떠오를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3: 임팩트(KBW2023: IMPACT)’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해시드는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투자 기업으로 각종 개발자 교육과 컨퍼런스, 해커톤도 진행한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아시아와 서구권 국가의 차이점에 대해 짚었다. 그는 “미국과 유럽 등 서양에서는 블록체인 시장의 71%가 인프라 프로젝트였고, 아시아는 67%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 프로젝트”라며 “아시아가 블록체인 시장의 전략적 요충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서구권이 블록체인 성장 기반인 인프라 사업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아시아가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대표는 “아시아는 가상자산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등 거대한 소비자 시장을 이끌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결국 한국이 아시아 블록체인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약 10년 이상 디지털 경제를 앞서 경험한 국가”라며 “게임과 케이팝,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소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국은 유통과 커머스, 금융사에 이르기까지 많은 대기업들이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을 진행, 웹3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
풍부한 블록체인 개발 인력과 가상자산 거래량도 한국이 블록체인 대중화에 유리한 이유로 꼽혔다. 김 대표는 “한국은 양질의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개발자가 많다”며 “중앙화 거래소(CEX)의 거래량도 세계 2위 규모로 전 세계 알트코인 시장의 가격변동성을 한국이 주도하기도 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알트코인은 비트코인(BTC)을 제외한 가상자산을 의미한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