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던 비트코인, 6.7만달러선 붕괴

달러 강세 여파에 급락

  • 뉴욕=김흥록 특파원
  • 2024-04-02 17:44:24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2일(현지 시간) 연준의 6월 금리 인하 전망이 약해지고 미국 달러지수가 상승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6만 7000달러 선 아래로 떨어졌다. REUTERS/Benoit Tessier/Illustration/File Photo


미국 달러 강세 등의 여파로 비트코인이 급락했다. 미국 경제가 생각보다 견고해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흔들린 것으로 풀이된다.

2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3.8%가량 하락한 6만 6800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6만 7000달러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달 24일이 마지막이다. 6만 8000~7만 달러 사이를 오가던 비트코인은 아시아 시장의 거래가 본격화하면서 약 30분 사이 5% 이상 급락하며 6만 7000달러 선 아래로 떨어졌다.

미국 경제지표 강세에 6월 금리 인하 전망이 위축되면서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했다. 공급관리협회(ISM)가 이날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을 기록해 전월의 47.8에서 상승했다. 이 지수가 기준선인 50을 넘은 것은 17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 여파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의 6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41.6%로 다시 40%를 넘어섰다.

아울러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DXY)는 전 거래일 104.55에서 상승해 105.2를 기록했다. DXY가 105를 넘은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통상 달러와 비트코인 가치는 반비례한다. 영국 투자 업체 파사이드인베스터에 따르면 이날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는 총 857만 달러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예상보다 큰 하락세 레버리지(차입) 투자자들의 매수 포지션이 일시에 청산된 점도 하락 폭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코인클래스에 따르면 이날 4만 7000달러 선 붕괴, 총 1억 6500만 달러의 매수 포지션이 자동 매도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