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금융위 "가상자산 해당되는 NFT 드물어"…관련 사업자, 7월까지 신고해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일 전까지 신고
'가이드 모호' 지적에 “개선 사례 축적할 것”

  • 도예리 기자
  • 2024-06-12 16:21:13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NFT 가이드라인, 금융위원회, NFT

출처=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가 대체불가토큰(NFT)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상자산으로 분류된 NFT를 취급하는 사업자는 오는 7월까지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수리를 완료해야 한다고 밝혔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된 이후에 라이선스 없이 가상자산인 NFT를 취급하면 불법 영업으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각각의 사례를 따져보며 보완할 여지를 열어뒀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일 이전까지 신고 마쳐야


12일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에 해당되는 NFT를 취급하는 기업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는 오는 7월 19일까지 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한다. 기존에 국내 유일한 가상자산사업자 관련법이었던 특정금융정보법에서는 NFT가 가상자산 범주에서 제외됐었다. 그런데 이번에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새로 시행됨에 따라 금융위는 NFT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가상자산으로 분류되는 NFT 기준을 마련했다.

문제는 현실적으로 약 한 달 만에 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라이선스 필수 요건인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취득하는 데도 수 개월이 걸린다. 이 같은 지적에 금융위 관계자는 “NFT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 전에 업계 관계자들과 미리 내용을 공유하고 소통을 했다”면서 “전반적으로 가상자산에 해당되는 NFT를 취급하는 기업은 많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즉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NFT 대다수는 가상자산이 아닌 NFT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금융위 NFT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량·대규모 시리즈로 발행돼 대체 가능성이 큰 경우 △분할이 가능해 고유성이 약해진 경우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직·간접적 지급수단으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 △불특정인간에 가상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고 연계해 재화·서비스 지급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특성을 보유한 NFT는 가상자산으로 분류된다.

출처=금융위원회 NFT 가이드라인.


이 기준에 따르면 대표적 프로필 NFT, 멤버십 NFT 등의 소속 범주는 모호해 보인다. 1만 개 발행된 지루한원숭이들의요트클럽(BAYC)은 바닥가를 기준으로 가격이 비등비등하게 형성돼 있다. NFT에 담긴 캐릭터 모양도 비슷해 대체 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신세계백화점 푸빌라 NFT나 롯데홈쇼핑 벨리곰 NFT도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의문을 제기하자 금융위 관계자는 “특정 프로젝트가 NFT다, 아니다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NFT에 담긴 고유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본질을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형식만 NFT를 취한 가상자산을 추려내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그는 NFT를 우표에 비유하며 “우표를 수집하고, 나중에 우표 가격이 뛰어서 거래가 될 수도 있다”면서 “다만 우표를 상장하고 자금을 모집해 시세를 형성시키는 행위를 규제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NFT가 가상자산으로 분류되더라도 발행업자는 가상자산사업자로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권단 디케이엘파트너스 대표 변호사는 “가상자산이라고 해도 발행업자는 신고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현재 다수 가상자산 발행 업체가 국내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대상에서 제외된 것과 마찬가지다.

가이드 모호하다는 지적에 “개선 사례 축적할 것”


업계에서는 금융위 가이드라인이 불명확해 혼란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에 진출한 한 해외 프로젝트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에 모호한 내용이 많다”면서 “좀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나올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가이드라인의 개별적 해석 여지가 크다는 점을 짚으며 “규제만을 위한 가이드에서 나아가 일종의 샌드박스나 세이프존을 만들어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여기에 대해 금융 당국 관계자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따라) 업계에 혼선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혁신성을 저해하거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해석의 여지를 남겨뒀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각 기업들이 스스로 판단해보고 여기서 생기는 의문점 등을 소통하는 과정에서 개선 사례를 축적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