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디스프레드 리서치 전담 조직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최근 국내 거래소 상장 현황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진단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3년 4분기부터 올해 7월까지 기간 동안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 트렌드와 거래대금 점유율 추이 등을 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업비트는 상승장에 점유율이 올랐고, 빗썸은 조정장에 점유율이 상승했다. 지난 1분기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으로 비트코인(BTC) 가격이 오른 시점에 업비트 점유율은 1월 55.4%에서 3월 78.9%로 수직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빗썸 점유율은 40.5%에서 18.6%까지 떨어졌다. 업비트와 간극은 최대 60%p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2분기 가상자산 시장이 조정세를 보이자 업비트와 빗썸 점유율 격차도 줄어들었다. 이때 업비트 점유율은 3월(78.9%)에서 6월(63.3%)로, 약 16%p 떨어졌다. 같은 기간 빗썸은 3월(18.6%)에서 6월(32%)로 올랐다. 즉 업비트는 상승장에서 탄력을 받은 반면 빗썸은 하락장의 수혜를 입은 셈이다. 같은 기간 코인원 점유율도 3월(1.8%)에서 6월(2.9%)로 확대되며 빗썸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코인원 점유율 상승세는 5개 거래소 중 95% 내외 점유율을 차지하는 업비트·빗썸을 제외한 나머지 거래소(코인원·코빗·고팍스)끼리 비교했을 때도 압도적으로 집계됐다. 세 거래소 점유율은 3월부터 우상향하기 시작했다. 이중 코인원 거래대금 점유율은 대부분 기간 동안 50%로, 5개 거래소 중 3위를 기록했다.
조사 기간 동안 상장을 가장 많이 한 거래소도 코인원이었다. 밈코인은 코인원이 7건, 빗썸이 3건, 코빗이 1건을 상장했다. 업비트와 고팍스는 밈코인을 한 건도 상장시키지 않았다. 보고서는 “5개 거래소 중 코인원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반영했다”며 “지난해 4분기 밈코인(MEME), 봉크(BONK)를 시작으로 밈코인 섹터 공략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김동혁 디스프레드 리서처는 “빗썸은 이용자를 겨냥해 저렴한 거래 수수료, 신규 가상자산 상장, 여러 유통업체와 다양한 이벤트로 공격적 마케팅을 펼쳐왔다”면서 “코인원은 시장 트렌드를 잘 포착한 상장 정책과 첫 거래 이벤트 등을 앞세어 신규 고객 확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승화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장은 “업비트를 추격하기 위한 다른 거래소들의 여러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다”면서도 “지난 19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으로 적극적 가상자산 상장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돼 거래소들이 점유율 경쟁을 어떤 식으로 전개할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