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블룸버그는 시드니 공과대학교(UTS·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의 논문을 인용해 “2018년 이후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암호화폐의 10~25%에서 내부자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암호화폐 시장의 내부자 거래(Insider trading in cryptocurrency markets)’로 지난 8일 발표됐다.
논문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의 내부자 거래는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내부자 거래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UTS 연구원들은 “2018년 9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주식 시장의) 내부자 거래와 비슷한 상장 발표 전의 비정상적인 수익률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암호화폐 목록의 10~25%에서 내부자 거래가 발생했다고 본다”며 “해당 내부자가 최소 150만 달러(약 20억 원)의 이익을 얻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내부자 거래가 주로 유니스왑(Uniswap) 같은 탈중앙화거래소(DEX)에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DEX에선 일반적으로 신원 확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내부자 거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연구원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상장을 발표하기 전 300시간 동안 탈중앙화거래소(DEX)에서 해당 암호화폐는 시장 기준 수익률에 비해 평균적으로 40% 급등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의혹 제기에 대해 코인베이스 측은 “우리는 이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모든 시장 참가자가 동일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코인베이스는 불법 행위를 절대 용납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관련 조사를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코인베이스의 전 직원과 그의 지인 등 3명을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했다. 해당 거래와 관련된 코인베이스 상장 암호화폐 9개는 증권으로 분류했다. 이에 UTS 연구원들은 “이러한 데이터가 SEC가 기소한 3명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확신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