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한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유럽에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가 잇따르자 유럽 현지에 데이터센터를 짓겠다며 직접 설득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틱톡 경영진이 6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에서 정치 싱크탱크와 정책입안자 등을 만나 자사의 데이터 보호 계획에 대해 브리핑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틱톡은 유럽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센터 두 곳을 아일랜드에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유럽 내 서드파티(외부) 회사와 계약을 맺어 틱톡을 독립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틱톡 경영진은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플랫폼스 등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갖췄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WSJ은 “틱톡은 유럽에서 시행 예정인 ‘선도적인(industry-leading)’ 데이터 보호 조치의 세부 내용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틱톡의 이 같은 행보는 ‘프로젝트 클로버(Project Clover)’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앞서 틱톡은 미국에서 개인정보 유출 염려가 확산하자 미국 텍사스에 본사를 둔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의 클라우드 서버로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이전하는 내용의 ‘프로젝트 텍사스’를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유럽의 경우 현지에 구축한 틱톡의 자체 서버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프로젝트 텍사스와는 차이가 있다.
틱톡이 유럽 내 첫 방문지로 영국을 택한 배경으로는 영국이 아직까지 틱톡에 큰 반감을 드러내지 않았다는 점이 주효하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이미 미국, 호주, 캐나다 등이 틱톡 사용 금지를 위한 절차를 밟기 시작했지만 영국은 아직 이러한 흐름에 합류하지 않은 상태다. 미국 상원에서는 이르면 7일 틱톡을 포함한 외국 IT제품을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틱톡은 영국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가 틱톡의 위험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는 판단 하에 협상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한 브리핑 참석자는 WSJ에 “투명성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은 높이 평가하나 (틱톡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 시각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