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 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리플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승소 후 FCA에 현지 라이선스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플은 거대한 가상자산 시장인 미국의 규제 당국으로부터 승소한 후 기업적 가치를 확보하고 적극적으로 시장 확장을 타진하는 모양새다. 리플은 영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목적으로 결제 라이선스를 취득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특히 영국은 최근 미국의 가상자산 규제가 강화되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자 새로운 사업지로 떠올랐다. 영국은 미국과 비교해 규제 가이드라인이 명확한 편이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 14일 미국 법원은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토큰은 증권이 아니라는 판결을 내놨다. 당초 SEC는 리플의 XRP 토큰을 증권이라 주장했으나 미 법원은 일반 투자자에게 토큰을 판매하는 행위는 연방 증권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며 리플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기관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토큰은 증권으로 간주해 사실상 반쪽짜리 승소라는 평가다. 이에 SEC의 항소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