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로 회사채 발행 여건이 개선된 가운데 11월 미국 대선 전 자금 조달을 서두르려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이번 달 회사채 발행량이 연초에 버금갈 정도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24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전날까지 발행된 일반 회사채는 9조 5843억 원이다. 지난 1월(13조 2577억 원), 2월(11조 9008억 원)에 이어 월간 기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HD현대, 한진, SK실트론 등 이달 말까지 예정된 회사채 발행까지 더하면 발행량은 10조 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10월 회사채 발행이 연초처럼 활황을 보이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라는 반응이다. 휴가철과 반기 보고서 작성으로 7~8월 발행이 미뤄진 물량이 9~10월로 몰리긴 하지만, 기관투자가들이 자금 집행을 재개하는 연초에 버금갈 만큼 발행 규모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최근 회사채 활황은 지난 11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연 3.25%로 인하한 후 기업들의 자금 조달 환경이 개선된 영향이 크다. 신용등급 ‘AA-’급 3년 만기 무보증사채 금리는 7월 말부터 3.4%대 안팎을 오르내려 기준금리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나타났는데, 기준금리 인하로 가격 부담이 해소된 것이다.
이후 높은 수익률을 찾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회사채 시장에 집중됐고, 이에 기업들은 당초 계획보다 발행 물량을 늘릴 수 있게 됐다. 특히 표면 금리가 높은 신용등급 ‘A+’급 이하 비우량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롯데하이마트(A+)는 전날 2년물 500억 원, 3년물 8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당초 계획보다 각각 100억 원, 400억 원 증액한 것으로 이는 앞선 수요예측에서 목표액을 훌쩍 넘는 총 3550억 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온 결과다. 한화에너지(A+)도 전날 2년물 800억 원, 3년물 700억 원을 발행했는데, 당초 계획보다 각각 100억 원, 400억 원씩 증액했다.
여기에 올해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11월 미국 대선 전에 서둘러 만기 물량 차환을 위해 자금 조달을 마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미 대선과 연말이 머지않아 그 전에 자금조달을 마치려는 발행사 욕구가 강했다”며 “본격적인 금리인하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신용 채권 시장이 예년보다 빨리 강세로 돌아선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금리 인하로 시장 유동성이 증가한 가운데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또한 채권시장의 유동성을 확대할 수 있는 재료”라며 “채권 시장에 증가하는 자금이 국고채보다 높은 금리대를 형성하는 신용 채권 채권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증가한 채권 발행을 무사히 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조달 주체의 입장에서는 조달 여건이 더 중요하지 조달 비용은 부수적인 고려 요인”이라면서도 “회사채 금리가 하락세이지만 2021~2022년 저금리로 발행된 물량이 2024~2025년 차환 발행되면서 기업의 이자 비용 부담은 증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