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삼성그룹 대형 블록딜 주관한 삼성증권

외국계증권사 선호했던 과거와 달라져

  • 임세원 기자
  • 2025-02-12 14:31:30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삼성증권이 삼성그룹 계열사 대형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 주관을 맡아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2일 삼성생명(032830)은 전날 시장외거래를 통해 삼성전자(005930) 주식 425만 2305주를 약 2337억 7471만원에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삼성화재(000810) 역시 74만 3104주를 408억 5288만원에 처분했다고 밝혔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삼성전자 주식을 각각 8.51%, 1.49%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번 거래 이후 8.44%, 1.48%로 내려갔다. 두 회사가 매도한 주당 금액은 전날 시가 대비 1.3~1.5%의 할인율에 해당한다. 총 2800억 원 규모다.

두 회사가 삼성전자 주식을 판 이유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올해 2월 17일까지 3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소각 후 삼성전자 주식이 줄어들면서 금산분리법에 따라 삼성전자 주식 10%이상 보유할 수 없는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10%를 넘어서는 0.08%만 매도한 것이다.

업계는 그간 관행을 깨고 삼성증권이 대형 거래의 단독 주관을 맡은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그룹은 주요 대주주의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한 블록딜을 할 때마다 골드만삭스, JP모간, 씨티글로벌마켓증권, UBS 등 외국계 증권사나 일부 국내은행 신탁 등을 활용했다. 삼성증권은 지난 2012년 삼성전자 블록딜을 주관한 이후 그룹에서는 500억~1000억 원 안팎의 비교적 작은 거래를 담당했다. 삼성증권의 계열사 블록딜 주관이 법적으로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불필요한 해석을 꺼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외국계 증권사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거래였기 때문에 주로 해외 기관투자자를 유치하거나, 극도로 비밀을 유지하기 좋은 외국계 증권사를 굳이 선호하지 않은 것 같다”고 풀이했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실적 하락 등으로 인해 보다 적극적으로 국내 기관투자자를 관리하기 위해 선택하지 않았느냐는 해석도 내놓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2025.02.12 (장종료)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추세차트 EBITDA 마진율
코스피삼성생명 90,800 1,700 +1.91%
코스피삼성전자 55,800 100 +0.18%
코스피삼성화재 373,500 6,000 +1.63%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