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김병주 MBK 회장 1000억대 찔끔 사재출연 논란

수백억 증여·600억 DIP 대출
“홈플러스 정상화엔 턱없이 부족”

  • 서종갑 기자
  • 2025-04-10 18:57:47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서울경제DB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홈플러스에 600억 원대 대출을 연대 보증한다. 지난달부터 홈플러스에 수백억 원대 증여를 한 뒤 추가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대출 보증과 증여를 합치면 약 1000억 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한 것으로 보인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큐리어스는 법원 허가를 받아 홈플러스 소상공인 결제대금 지원을 위한 600억 원의 DIP 대출을 진행한다. 대출조건은 금리 연 10%, 만기 3년이다. 김병주 회장이 개인 자격으로 지급보증을 선다. 홈플러스가 갚지 못하면 김 회장이 갚게 된다. DIP는 회생절차를 개시한 기업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것을 뜻한다. 회생 기업에 대한 일종의 구제금융이다.

김 회장은 지난달부터 이미 사재출연을 해왔다. 홈플러스에 자금을 증여해 영세업체 2000여 곳의 결제대금을 정산했다. 구체적인 규모가 밝혀지진 않았지만 500억 원 정도가 거론된다. 앞서 김 회장은 소상공인 결제대금 정산에 사재출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사재출연 규모와 방식을 두고 ‘생색내기’에 그친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 회장이 총 1000억 원 규모 사재출연을 했지만,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 DIP 대출에 연대보증을 선 것을 두고서도 사실상 김 회장 돈이 한 푼도 투입되지 않는다는 반론도 나온다.

DIP 대출은 공익채권으로 분류된다. 공익채권은 무보증 채권 중 변제 순위가 가장 앞선다. 즉, 다른 채권자들을 뒤로 밀어내게 되기 때문에 추후 회생 계획안 인가 시 채권단이 반발할 여지도 있다. DIP 대출의 금리가 10%에 이르러, 고금리 대출로 이자 부담이 큰 홈플러스에 추가 부담을 안겼다는 비판도 있다. 이로 인해 국회의 눈높이를 맞추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MBK는 재정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선 추가적인 자금 마련도 고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