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약세를 이어가면서 ‘크립토 윈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암호화폐 혹한기’로도 불리는 크립토 윈터는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전년도 최고점 대비 급락하는 추세가 수 개월 이상 이어지는 장기 하락장을 뜻한다. 가상자산 시장은 2010년 이후 3~4년 주기로 총 세 차례(2011년·2014년·2018년)의 혹한기를 겪었다. 이 시기에는 시장에 유입된 투자금 자체가 빠지면서 거래량도 장기간 저조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크립토 윈터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11년이다. 당시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량의 80%를 차지하던 거래소 ‘마운트곡스’의 대형 해킹 사건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2011년 6월 마운트곡스의 자체 프라이빗 키가 도난 당해 지갑 데이터 파일이 무단으로 복제됐다. 유일무이한 거래소 역할을 해오던 마운트곡스의 해킹 사건 이후 20달러를 웃돌던 비트코인 가격은 2달러 선까지 폭락했다. 마운트곡스 사건을 계기로 ‘비트코인 종말론’이 힘을 받기도 했다. 당시 포브스는 “최근 해킹 사건에서 드러나듯 비트코인은 안전하지 않다. 높은 변동성으로 가치 저장 수단이 될 수 없을 뿐더러 결제 수단으로도 적합하지 않다”며 “비트코인의 용도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보도했다.
두 번째 크립토 윈터도 마운트곡스로부터 촉발됐다. 2014년 2월 마운트곡스에서 또 한 번 해킹이 일어나 비트코인 85만 개가 도난 당한 것이다. 이후 이용자들의 자금 인출 요청이 빗발치면서 결국 파산 수순을 밟았다. 마운트곡스 거래소 자체의 문제였지만 잇달은 보안 문제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시장 침체기로 이어졌다. 게다가 마크 카펠레스 전 마운트곡스 대표가 횡령 등의 혐의로 체포되는 등 마운트곡스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아 수개월간 하락 압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2014년 1월 1100 달러에서 2015년 1월 175달러로 85% 가까이 폭락했다.
2018년 찾아온 세 번째 크립토 윈터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정책 기조에 영향을 받았다.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오던 연준이 본격적인 돈줄 죄기에 나서자 주요 암호화폐가 일제히 폭락했다. 긴축 모드 전환 이후 대표적인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암호화폐에 대한 회피 심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1월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암호화폐 거래 금지와 거래소 폐쇄까지 고려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투자 심리를 얼어붙게 했다. 여러 악재가 맞물리며 2017년 말 2만 달러 수준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2018년 말 3000달러까지 하락했다. 1년 사이 80% 이상 가격이 급락했다.
올해 암호화폐 약세장은 2018년처럼 유동성 축소가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이례적인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인플레이션이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지자 최근 긴축 통화정책 기조로 선회했다. 여기에 더해 5월 테라·루나 코인 폭락 사태도 침체장에 한몫했다. 해당 사태를 시작으로 가상자산 기업들의 줄파산이 이어지면서 시장 분위기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리서치센터는 “비트코인 가격은 6월 13일 이후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으며 이로써 네 번째 크립토 윈터가 본격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