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터윈터를 이기고 롱런하는(오래가는) NFT를 구축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커뮤니티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기쁨 디파인 커뮤니케이션 리드는 24일 서울 대치동 델리오 라운지에서 열린 ‘디센터 NFT 세미나’에서 “강력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형 NFT는 한번 자리 잡으면 가장 오래 살아남는 프로젝트”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경제신문과 디센터가 주최했다.
이 리드는 NFT 프로젝트의 성장방식을 크게 △백커(backer)형 △인플루언서형 △커뮤니티형 세 가지로 분류했다. 먼저 백커형은 웹2의 기존 유명 회사나 개인이 웹3에 진출해 구축한 프로젝트로서 개인이나 회사가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나이키가 NFT 프로젝트 ‘클론엑스’의 제작사 ‘10KTF’를 인수한 사례나 웹2 유명 창업가 케빈 로즈가 만든 ‘문버드(Moonbirds)’ 프로젝트 등이 해당한다.
인플루언서형은 유명 인사가 NFT 프로젝트를 초기에 발굴해 홍보하는 유형이다. 이 리드는 “투자자 본인이 할 프로젝트 검증의 역할을 인플루언서에게 맡긴 것”이라며 “인플루언서의 추천이 있더라도 투자자 스스로 프로젝트를 검증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커뮤니티형은 팀과 홀더들이 프로젝트의 가치를 성장시키는 바텀업(Bottom-up, 상향식) 방식의 프로젝트다. ‘지루한원숭이들의요트클럽(BAYC)’, ‘두들스(Doodles)’ 등이 대표적이다. 이 리드는 커뮤니티형 NFT 프로젝트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커뮤니티형 NFT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 표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홀더들로 하여금 알파 그룹에 속했다는 소속감을 준다”며 “투자자들의 니즈를 가장 잘 충족하는 NFT”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프로필 사진만 걸려있어도 같은 NFT 커뮤니티에 속한다는 이유로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점이 굉장한 매력”이라고 덧붙였다. 홀더들 간 상호 유대감이 일종의 락인(lock-in) 효과로 작용해 NFT 가격이 떨어져도 쉽게 빠져나가지 못 한다는 설명이다.
이 리드는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NFT는 워낙 공급이 많은 데다 최근에는 웹2 기업들까지 뛰어들었기 때문에 한번 무너진 NFT 프로젝트가 다시 살아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며 “최근 세계 증시 악화로 NFT 마켓 거래량이 급감한 것은 맞지만, 이럴 때일수록 커뮤니티 관리에 힘쓰며 계속 프로젝트를 유지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돈으로 만난 인연은 돈을 벌게 해줘야 유지된다”며 “하락장에서도 신규 에어드랍 등 새로운 수익성 전략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NFT 프로젝트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 역할을 할 때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끝으로 이 리드는 “최근에 보유 중인 NFT 가격이 떨어진 분들도 많을 텐데 가치 투자한다고 가만히 손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에 대해 공부, 분석하고 직접 제안도 해보시라”며 “액티브한 홀더가 돼야 몸 담고 있는 NFT 프로젝트도 성장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