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의 증권성 여부를 두고 장기간 소송전을 벌여온 리플이 SEC 소송 판결이 리플 사업에 미칠 영향력은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15일 브룩스 엔트위슬(Brooks Entwistle) 리플 아태 및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총괄은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리플-TRM랩스 한국 정책 서밋’에 참석해 SEC와의 소송에 대한 의견을 이 같이 밝혔다. 엔트위슬 총괄은 “SEC 소송은 미국 외 지역에서의 혁신을 가속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리플의 사업 90%는 이미 미국 밖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년 넘게 이어진 SEC와의 소송을 통해 미국 내 암호화폐 규제의 불명확성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결제토큰, 유틸리티 토큰, 증권형 토큰에 대한 명확한 구분을 내려 각 성격에 맞는 규제를 적용하기 보다는 SEC를 통한 증권성 단속에만 집중했다는 것이다. 그는 “규제 측면에서 미국이 정체되는 동안 싱가포르와 UAE, 영국, 일본 등은 명확한 규제를 세워 여러 기업들이 해당 국가로 진출하는 이득을 봤다”고 꼬집었다.
그는 SEC와의 소송 기간 암호화폐 규제 정비에 앞서나가는 해외 국가에서의 사업을 가속화했다고 밝혔다. 특히 싱가포르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년간 싱가포르 지사의 규모를 2배로 확장하고 본사로서 역할하도록 했다"며 “기업가라면 누구나 명확한 규제가 갖춰지고 생태계가 조성된 국가에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리플은 블록체인 인텔리전스 기업 TRM랩스와 ‘리플-TRM랩스 한국 정책 서밋'을 공동 주최하고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 동향과 한국 블록체인 산업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리플은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 수립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라훌 아드바니(Rahul Advani) 리플 아태지역 정책 총괄은 “명확한 규제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통한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한국이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를 정립하기 위해 △명확한 분류 체계 △리스크 기반 프레임워크 △민관 협력 등을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 사업 확장 의지도 드러냈다. 엔트위슬 총괄은 “지난 2017년 SBI홀딩스와의 조인트벤처 설립을 시작으로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지역 사업을 오랫동안 확장하고 있다”며 “지난해에 이어 2년간 서밋을 개최한 이유는 한국 시장에 갖고 있는 의지 때문”이라고 밝혔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