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카카오-네이버, 블록체인 사업 손잡는다…클레이튼·핀시아 메인넷 통합

"아시아 대표 메인넷 구축"
내달 2일까지 메인넷 통합 투표

  • 김정우 기자
  • 2024-01-16 14:54:27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가상자산, 암호화폐, 블록체인, 클레이튼, 핀시아, 라인, 카카오, 네이버, KLAY, FNSA



클레이튼(KLAY)과 핀시아(FNSA)가 메인넷 통합을 추진한다.

16일 클레이튼 재단과 핀시아 재단은 각 재단 거버넌스 멤버들에게 생태계 통합 계획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제출된 제안서는 내달 2일까지 찬반 투표를 거친다.

두 재단은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기술·서비스·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전면 통합할 계획이다. 클레이튼 재단은 “각 메인넷의 개발과 생태계 확장에 기여해 온 파트너사들과도 공조해 아시아 지역 대표 메인넷으로서 자리매김하겠다”고 메인넷 통합 취지를 밝혔다. 두 메인넷의 아시아 주요 국가 합산 사용자 수(MAU)는 2.5억 명에 달한다. 두 생태계를 합쳐 약 420개의 웹3 기반 서비스와 45개 이상의 거버넌스 운영사를 확보해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생태계가 형성된다. 카카오와 라인 모바일 메신저 기반 웹3 사업 연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각 블록체인의 유틸리티 토큰인 KLAY와 FNSA도 통합한다. 두 재단은 올해 2분기 내로 기존 KLAY·FNSA 보유자들이 보유한 토큰을 새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토큰 전환은 KLAY 가치 기반으로 진행한다. 통합 토콘은 유통 유보 수량이 전혀 없는 ‘제로 리저브 토크노믹스’를 채택했다. 통합 이후에 발행량 24%에 대한 소각도 진행한다. 재단이 운영하던 펀드는 ‘에코 펀드’와 ‘인프라 펀드’ 형태로 유지하되 기존과 같이 공식 메인넷 정보 포털 웹사이트에 운용 현황을 공개한다.

클레이튼과 핀시아 거버넌스는 단일 체계 내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일원화한다. 새 거버넌스 회원사 수도 100곳으로 확대한다. 이번 제안안이 통과하면 두 재단은 △기관 수요 대응을 위한 인프라 마련 △대규모 탈중앙화금융(DeFi·디파이) 인프라 강화와 자체 스테이블코인 출시 △인공지능(AI) 기술 적용 웹3 서비스 신사업 추진 △아시아 최고 수준 게임사·글로벌 지적재산권(IP) 프로젝트 온보딩 △아시아 지역 신규 홀더·개발자·협력사 커뮤니티 육성 등 6가지를 올해 목표로 설정하고 협력할 계획이다.

클레이튼·핀시아 재단은 “아시아 양대 정보기술(IT) 기업인 카카오와 라인이 두 퍼블릭 블록체인 생태계를 통합하고 시너지 창출하기 위한 첫 걸음"이라며 “이번 통합이 아시아 블록체인 산업의 대중화와 웹3 기술·서비스 혁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두 재단은 오는 19일 이번 생태계 통합 소식을 전하고 질의에 답하는 시간을 갖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