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상반기 랠리 '조·방·원' 옛말…역대급 '불장'에 나홀로 하락세 [이런국장 저런주식]

탈원전 회귀 우려에 원전주 약세
방산주는 일부 종목 고평가 논란
관세 협상 난항에 조선주도 조정

  • 김병준 기자
  • 2025-09-19 07:00:23
  • 프린트하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체코 두코바니 원전. 연합뉴스.


상반기 주도주였던 ‘조선·방산·원전(조·방·원)’ 업종이 코스피지수의 상승 랠리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반기 오름 폭이 컸던 만큼 차익 실현 매물의 출회, 상승 모멘텀 약화 등으로 일시적 조정을 겪는 것으로 진단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두산에너빌리티(034020)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00원(1.14%) 내린 6만 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밖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0.68%), HD현대중공업(329180)(-1.28%), 한화오션(042660)(-1.77%), HD한국조선해양(009540)(-0.96%) 등이 약세를 보였다.

시장에서는 그간 랠리를 지속했던 종목들이 약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차익 실현, 모멘텀 약화 등을 꼽는다. 대표적으로 정부의 원전 지원 축소 우려로 인해 부진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센터 등에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니 원전을 짓자고 하는데 기본적인 맹점이 있다”며 “지금 (짓기) 시작해도 10년 지나 지을까 말까인데 그게 대책인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따른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제시했다.

조선 업종의 경우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가 무산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 업종은 대표적으로 한국과 미국 간 협력 기대로 상승 가도를 달렸다. 한미 간 관세 협상에도 핵심 카드로 부상했지만 3500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비용에 최근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다.

방산주 기세가 한풀 꺾인 모양새다. 일부 업체의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며 고평가 논란이 일어난 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가능성이 불거지며 방산주에 대한 전반적인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LIG넥스원(079550)은 2분기 영업이익이 연결 기준 776억 원을 기록했다고 8월 7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지만, 증권가 추정치(856억 원)에 9%가량 못 미치는 실적이다. 이후 증권가는 LIG넥스원에 대한 눈높이를 줄줄이 낮춰 잡았다. 금융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IG넥스원 2분기 실적 발표 후 다올투자·메리츠·미래에셋·삼성·BNK투자증권 등이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증권가에선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번 조정을 저가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선·원전·방산주 상승 모멘텀의 핵심은 해외 수주이기 때문이다. 원전의 경우 AI 붐으로 전 세계 전력 소비가 급증하면서 글로벌 전력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위기의 조방원! 하반기 투자 전망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2025.09.19 09:25:46 (20분 지연)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추세차트 EBITDA 마진율
코스피HD한국조선해양 408,500 3,500 -0.85%
코스피HD현대중공업 496,000 3,500 -0.70%
코스피LIG넥스원 512,000 3,000 +0.59%
코스피두산에너빌리티 62,050 1,450 +2.39%
코스피한화에어로스페이스 1,015,000 8,000 -0.78%
코스피한화오션 110,500 500 -0.45%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